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1분기 출생아 수 급감: 출산율 0.7명대로 하락, 인구 자연감소 계속

by 원더 인포 2024. 5. 29.
반응형

2024년 1분기 출생아 수 급감: 출산율 0.7명대로 하락, 인구 자연감소 계속
2024년 1분기 출생아 수 급감: 출산율 0.7명대로 하락, 인구 자연감소 계속

2024년 1분기 출생아 수 급감: 출산율 0.7명대로 하락, 인구 자연감소 계속

2024년 1분기 동안 한국의 출생아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합계출산율이 처음으로 0.7명대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53개월째 이어지는 인구 자연감소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연간 합계출산율은 예상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출생아 수 감소와 합계출산율 하락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474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994명(6.2%) 감소했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로, 1년 전(0.82명)보다 0.06명 줄어들며 처음으로 0.8명선이 붕괴되었습니다.

출생아 수는 통상 연초에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합계출산율이 더 내려갈 가능성이 큽니다.

지난해 연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분기별로는 1분기 0.82명, 2·3분기 각 0.71명, 4분기 0.65명이었습니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입니다.

 

정부의 기대와 현실

정부는 2022년 8월 이후 혼인 건수가 약 1년간 증가세를 보인 점을 근거로, 하반기 출생아 수가 반등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통상 첫째아 출산까지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53년입니다.

하지만 출산 여성의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30∼34세 연령대에서 4.4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또한 둘째 이상을 낳지 않는 경향도 계속되었습니다.

첫째아 구성비는 61.5%로 1년 전보다 2.4%포인트 상승했고, 둘째아(31.7%)와 셋째아 이상(6.8%)은 각각 1.6%포인트, 0.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사망자 수와 인구 자연감소

1분기 사망자 수는 9만3626명으로 1년 전보다 4650명(5.2%) 줄었습니다.

인구 1000명당 사망률(조사망률)은 7.4명으로, 같은 기간 0.3명 증가했습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1분기 인구는 3만3152명 자연감소했습니다.

자연감소 폭은 1년 전(2만4509명 감소)보다 더 확대되었습니다.

 

월별 출생아 및 사망자 수 추이

3월 출생아 수는 1만9669명으로, 1년 전보다 1549명(7.3%) 줄었습니다.

이는 3월 기준 최저 기록으로,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만 명을 밑돌았습니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모두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수는 1년 전보다 2205명(7.6%) 증가한 3만1160명이었습니다.

3월 인구 자연증감은 -1만1491명으로, 53개월째 자연감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구 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결혼 연령의 상승, 경제적 부담, 육아 환경의 어려움 등이 꼽힙니다.

특히 젊은 세대의 결혼 및 출산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출산 및 육아 지원금 확대, 육아 휴직 제도 개선, 주택 지원 정책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 중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출산율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정책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젊은 세대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변화도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출산율과 인구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결론

2024년 1분기 출생아 수 감소와 합계출산율 하락은 한국 사회에 큰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정부의 다양한 정책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출산율 회복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책 마련과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변화가 필요합니다.

출산율과 인구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미국과 소련의 하늘을 가른 U-2 정찰기의 역사와 비밀

미국과 소련의 하늘을 가른 U-2 정찰기의 역사와 비밀1950년대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냉전이 시작된 시기였습니다.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표 주자인 미국과 소련은 서로의 움직임을 감시

wonderinfo.tistory.com

 

반응형